연금저축과 ISA 계좌, 제대로 알고 운용하기!
연금 개시 조건부터 세액공제, ISA 비과세 혜택까지 한 번에 정리!

연금저축 vs ISA 계좌, 무엇이 다를까?
요즘 많은 분들이 연금저축과 ISA 계좌를 동시에 활용하고 계시죠.
하지만 정확히 어떤 차이가 있고, 어떤 조건에서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헷갈리기 쉬운데요.
오늘은 연금 계좌 개시 조건부터 ISA 세금 혜택, 인출 시 유의사항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
연금 개시 조건은?
- 나이 조건: 만 55세 이상
- 가입 기간: 5년 이상
단, 퇴직금이 입금된 IRP 계좌는 가입 기간 조건이 면제됩니다.
※ 연금 수령이 시작되면 계좌 통합 및 이전이 불가
하므로 신중하게 개시하세요.
연금 계좌 간 이전은 가능할까?
- 가능: 연금저축 ↔ IRP 이전
- 조건: 만 55세 이상 + 가입 5년 이상
주의: 연금 수령 전 반드시 이전을 완료해야 합니다.

세액공제와 연말정산 팁
- 세액공제를 받지 않은 금액은 연말정산 시 제외 제출
- 실수로 공제된 경우 → 국세청 홈택스 확인서 발급 → 금융사 제출
인출 전 ‘소득세액공제 확인서’는 꼭 발급받아야 손해를 피할 수 있어요!
ISA 계좌의 세금 혜택은?
- 국내 주식 매매 차익 : 비과세
- 이자/배당 소득 : 9.9% 분리과세 (비과세 한도 초과 시)
일반 계좌와 비교: 매매차익만 운용한다면 ISA와 큰 차이 없음.
하지만
과세 이연·분리과세 혜택
때문에 ISA가 유리합니다.
ISA 중도 인출 시 유의사항
- 주식 보유 중에는 인출 불가
- 현금화된 자금만 인출 가능 → 주식 매도 필요
월배당 ETF를 활용해 현금 흐름 세팅 추천드립니다.

ISA 납입 한도 및 의무 가입기간
- 연간 납입 한도 : 2,000만 원
- 의무 가입 기간 : 3년
- 가입 시점 기준으로 연도별 납입 가능
- 만기 이후에도 추가 입금 가능 (세제 혜택은 불가)
ISA → 연금 계좌 이전, 가능할까?
퇴직자 또는 연금 수령 중인 분의 경우
- 연금 수령 중 계좌로 ISA 자금 이전 불가
- 향후 연금 개시 목적이라면 미리 ISA 운용 및 가입 필요
연금 수령 한도 계산법
공식 : (연금 평가액 ÷ 10) ÷ 수령 연차
10년 차 이후부터는 수령 한도 제한이 사라집니다.
※ 세액공제를 받지 않은 연금은 10년간 자유 인출 가능
→ 전액 인출 후에는 운용수익에 대해 과세됩니다.
연금 vs ISA 계좌 비교 정리
개시 조건 | 만 55세 이상 + 5년 이상 | 없음 |
세액공제 | 최대 700만 원 | 없음 |
비과세 혜택 | 연금 소득 저율과세 | 매매차익, 이자, 배당 일부 |
중도 인출 | 조건 충족 시 가능 | 현금화된 자금만 가능 |
활용 전략 | 은퇴 후 연금 수령 | 중간 목돈 + 연금 계좌 이관 |
- 연금 개시 전 계좌 이전과 세액공제 체크는 필수!
- ISA는 비과세 + 분리과세가 장점
- 중도 인출은 반드시 현금화 과정 거쳐야 함
연금저축 ISA 등 재테크는 지금 시작하면 은퇴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재테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돈은 마음이다” 재테크 초보가 꼭 알아야 할 돈의 심리학 인사이트 (1) | 2025.07.13 |
---|---|
“연금저축 월 50만 원이면 3억 만든다? 박곰희 책 한 권으로 정리 끝! (1) | 2025.07.09 |
재테크 초보자에게 알려주는 진짜 중요한 원칙 4가지 (6) | 2025.07.08 |
재테크 시작 전 꼭 알아야 할 핵심 원칙 총정리 (1) | 2025.07.06 |
사회초년생 필수 재테크 지식: 재무제표, 이제 쉽게 읽자 (2) | 2025.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