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신카드 리볼빙 서비스에 대한 함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최근 가계 부채의 쇄도로 떠오르고 있는 신용카드 리볼빙 서비스는 고금리와 함께 소비자에게 상당한 위험을 안겨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출처 : 그래픽=머니SDB

 리볼빙 서비스 제도

리볼빙은 결제 대금 중 일부만 갚고 나머지는 이자를 부담하며 다음 결제 때에 대금을 상환하는 제도입니다. 리볼빙의 정식 명칭은 일부결제금액이월약정입니다. 이번에 결제해야 할 카드값 일부를 다음 결제일로 넘기는 서비스로 소비자는 카드 대금에서 결제 비중을 정해 납부를 이월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서비스는 소비자에게 불완전한 판매 방식으로 마케팅되어 부채의 함정으로 이어질 우려가 높으며 지난 몇 년 동안카드사들은 리볼빙 서비스를 고금리 수익원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리볼빙 서비스의 함정

2023년 10월 말 기준 8개 전업카드사의 결제성 리볼빙 잔액은 7조4697억원으로, 소폭 감소하긴 했지만 역대 두 번째로 높은 수치입니다. 리볼빙 서비스의 평균 수수료는 연 15.65~17.88%로 고금리로 알려져 있습니다. 최근 리볼빙 잔액은 증가하고 있지만, 수수료는 더 높아지고 있습니다. 8개 전업카드사 평균 리볼빙 수수료율은 16.65%로, 6월 대비 0.5%p 이상 상승했습니다.

리볼빙은 '일부결제금액이월약정'으로, 결제해야 할 일부 금액을 다음 결제일로 넘기는 서비스입니다. 소비자는 결제 비중을 정해 납부를 이월할 수 있지만, 수수료가 높고 대출 기간이 짧아 연체 위험이 큽니다. 이용자들은 고금리에 더해 계속 불어나는 원금에 빠져 연체의 늪에 빠질 수 밖에 없습니다.

리볼빙 서비스시 주의사항

리볼빙에 대한 소비자 접근이 쉽고, 가입을 유도하는 불완전한 판매 방식으로 논란이 됐습니다. 실제로 소비자들은 무이자 서비스로 안내 받았다는 등의 불완전 판매로 인해 리볼빙에 가입된 경우가 있었습니다. 카드 리볼빙 서비스는 당장의 급한 불을 끌 수 있지만, 그 함정에 빠져 신용 위기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소비자는 서비스 이용 전에 위험성을 인지하고, 리볼빙 수수료와 이자율을 주의 깊게 확인해야 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