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월 300만 원 연금부자' 만들기, 박곰희 책 한 권으로 끝내기!

평범한 직장인도 3억으로 월 300만 원 만들 수 있다면 믿으시겠어요?
그 방법이 바로 이 책에 담겨 있습니다. 『박곰희 연금부자 수업』은 연금 준비의 교과서 같은 책입니다.


어떤 사람에게 필요한가요?

  • “연금? 너무 멀고 어렵게만 느껴져요…”
  • “월급은 빠듯한데 노후 준비는 해야 하니까 고민돼요.”
  • “IRP, ISA, TDF? 금융용어가 너무 어려워요!”

👉 이런 분들을 위해 현실적인 해답을 제시해주는 책입니다.

핵심 목표: 월 300만 원 연금소득 만들기

박곰희 작가는 아주 현실적인 방법으로 노후를 준비하자고 제안합니다.

  • 국민연금: 월 100만 원
  • 퇴직연금: 월 75만 원
  • 개인연금(IRP, 연금저축 등): 월 125만 원

✅ 이렇게 하면 총 월 300만 원의 연금소득이 가능하다는 거죠!
 

 3억만 모으면 가능?!

연 1,500만 원 수익을 목표로 한다면 5% 수익률 기준 3억 원이면 충분합니다.
그럼 3억은 어떻게 모을까요?

 공식: 월 50만 원 × 22년 × 7% 수익률

복리의 힘을 믿으세요!
월 50만 원씩 22년간, 연 7% 수익률로 투자한다면?
➡️ 3억 원 자산 달성 가능!
 

4개의 통장 전략

노후 준비는 4개의 계좌를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것에서 시작됩니다.

  1. 연금저축(세액공제 있음) - 월 50만 원
  2. 연금저축(세액공제 없음) - 월 75만 원
  3. IRP - 월 25만 원
  4. ISA - 월 약 167만 원

이 네 가지를 모두 활용하면 최대 월 317만 원 납입 가능!

 현실 가능한 이야기일까?

연 7% 수익률이 부담스럽다면 TDF, ETF, 자산배분 포트폴리오 활용을 권장합니다.
결국 중요한 건 꾸준함과 시간이라는 사실!

누구나 가능한 전략

 아기 부모님

  • 아기 명의 연금저축 계좌 개설
  • TDF나 미국 지수 ETF로 투자
  • 20~30년 후 2억~3억 이상 가능!

직장인

  • 세액공제 100% 활용 (연금저축 + IRP)
  • ISA로 목돈 마련 후 연금계좌로 이전

 은퇴자

  • ISA 만기 → 연금계좌로 이전
  • 연금 수령 전략 설계 (월배당 + 자가배당)

연금이 멀게만 느껴졌던 분들도 구체적이고 실행 가능한 전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월 50만 원으로 이렇게 노후를 준비할 수 있다고?”
실제 사례, 수치, 전략까지 모두 담겨 있어 실전 가이드로도 딱!

연금저축 월 50만 원이면 3억 만들어봅시다!!

 

 

반응형
반응형

재테크, 나도 시작할 수 있을까? 선배가 알려주는 진짜 중요한 4가지 원칙

“선배, 저 코인 해볼까 하는데… 요즘 다들 한다고 해서요.”

나도 네 나이 땐 그랬지. 누가 뭐 샀대, 누가 대박 났대, 들으면 마음이 들썩이지. 근데 말이야,
돈을 불리기 전에 꼭 알아야 할 4가지가 있어.
이걸 모르고 시작하면… 솔직히 말해 피 본다.



 1. 네가 뭘 하고 있는지부터 알아야 해

#투자와투기의차이 #재테크기초
‘투자’랑 ‘투기’가 뭐가 다를까?
예를 들어, 땅을 사서 콩을 심었는데 콩이 자라. 이건 투자야.
근데 코인은 어때? 들고 있어도 아무것도 안 나와. 오직 “누가 나보다 비싸게 사줄까?”만 생각하게 되지. 그건 투기야. 나쁘다는 건 아냐. 하지만 ‘내가 지금 뭘 하고 있는지’는 알고 해야 한다는 거지.


 2. 이게 너랑 맞는 투자냐? (적합성 체크)

#부동산투자 #코인 #주식 #나에게맞는재테크
예를 들어 네가 직장 다니느라 낮에는 시간도 없어.
그런데 빌라 경매? 상가 투자? 글쎄… 직접 발품 팔 시간 없으면 어려워.
난 그래서 아파트부터 시작했어. 단순하고 구조도 익숙해서 판단이 쉬웠거든.
👉 재테크는 네 라이프스타일과 맞아야 해. 억지로 하면 오래 못 버틴다.


 3. 이 자산이 진짜 '가치' 있는 건가?

#가치판단 #지역선호도 #부동산가치
쾌적하고 조용한 동네가 좋아? 근데 사람들은 강남 반포 같은 번잡한 곳을 더 좋아해. 왜일까?
가치는 ‘내가 좋아하는 것’이 아니라, ‘많은 사람이 좋아하는 것’에서 생겨.
GTX 들어온다고 다 오르는 거 아냐. 기차역 생긴다고 해서 ‘막연한 기대’만 가지면 위험해. 사람들이 실제로 어떻게 사는지를 봐야 해.


 4. 좋아 보여도 '비싸게' 사면 망한다

#가격판단 #시세조사 #저평가부동산
서울 아파트가 가치가 없는 게 아니야. 근데 15억에 사서 12억 되면? 가치 있어도 손해야.
좋은 자산은 ‘좋은 가격에’ 사야 수익이 나.
A동네랑 B동네가 비슷한데, A동네 아파트는 9억, B동네는 6억이면? 당연히 B가 싸고 좋은 기회겠지.


선배의 조언 한마디

“너 지금까지 뭐 했냐”는 말, 듣지 마라.
너는 배운 적이 없던 거야.
그러니까 지금부터 차근차근 배우면 돼.

나는 34살에 첫 투자 시작했어.
지금은 조금씩 자산이 불어가고 있어.
너는 나보다 10년이나 빠르잖아.


이 4가지만 기억해!

1투자와 투기 구분생산물이 있으면 투자, 없으면 투기
2적합성 판단네 상황에 맞는 투자여야 해
3가치 판단사람들이 선호하는 곳인지 판단
4가격 판단싸게 사는 게 핵심

재테크 이렇게 시작해봐

  • 유튜브 보면서 간접 경험 쌓기
  • 괜찮은 부동산 카페나 커뮤니티 들어가기
  • 소액으로 연습 투자해보기 (예: 리츠, 소액 부동산 플랫폼)
  • 누구보다 네 상황을 잘 아는 사람과 상의해보기

너에게 추천하는 첫 걸음

“재테크는 어렵지 않다.
모르면 배워서 하면 된다.
그리고, 안 배운 채 하지 마라.”

 
* 월급쟁이부자들 너나위님 영상을 보고 난 소감 정리 * 

반응형
반응형

재테크 초보라면 꼭 알아야 할 8가지 핵심 원칙 

“재테크를 시작하고 싶은데…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이런 고민, 누구나 한 번쯤 하게 됩니다.
하지만 걱정하지 마세요! 지금부터 소개할 8가지 핵심 원칙만 이해하고 실천하면
처음 시작하는 재테크도 어렵지 않게 풀릴 거예요.
 

 


1. 재테크란 ‘돈을 지키고 늘리는’ 활동입니다

단순히 돈을 모으는 것을 넘어서, 인플레이션에 대비하고 자산을 불리는 활동이 바로 재테크입니다.
투자 = 필수인 시대! 예금만으로는 자산을 지키기 어렵습니다.


 2. 나만의 투자 목표를 분명히 정하세요

왜 투자하는지부터 명확히 하세요. (예: 내 집 마련, 자녀 교육비, 노후 자금 등)

  • 단기(1~2년): 예금, CMA
  • 중기(3~5년): 채권형 펀드
  • 장기(5년 이상): 주식형 펀드, ETF

목표가 명확하면, 투자 전략도 흔들리지 않습니다.


3. 분산 투자는 필수입니다

“모든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마라”는 말, 들어보셨죠?

  •  국내 주식: 삼성전자, NAVER 등
  •  해외 ETF: QQQ, VOO
  •  부동산 리츠/펀드
  •  채권/국채/채권형 ETF
  •  현금성 자산: 예금, CMA 등

한 자산이 흔들려도 다른 자산이 받쳐주는 구조를 만들면 리스크를 크게 줄일 수 있어요.


 4. 장기 & 적립식 투자 습관을 들이세요

한국처럼 변동성이 큰 시장에선 적립식 투자가 효과적입니다.
예시: 월 30만 원씩 연 7% 수익률로 30년 투자 시 → 약 3억 7천만 원!
복리의 마법, 직접 체감해보세요!


 5. 내 ‘위험 감내 수준’을 파악하세요

예상 손실이 생겼을 때 어떻게 반응할지 스스로 테스트해보세요.
레버리지 투자(대출로 투자)는 절대 금물!
손실이 나도 감당할 수 있는 범위 안에서만 투자하세요.


 6. 꾸준한 공부와 정보 수집은 필수입니다

  •  재무제표 보는 법 공부
  •  경제 뉴스 정기 구독
  •  투자 서적 & 유튜브 강의 활용
  •  커뮤니티 정보는 선별적으로

포트폴리오는 최소 분기 1회 점검하세요. 너무 자주 바꾸면 수수료만 증가합니다.


7. 수수료를 반드시 체크하세요

일반 펀드약 2.0%높은 수수료, 장기투자에 불리
인덱스 ETF약 0.3%저비용으로 분산투자 가능
해외 ETF약 0.15%수수료 매우 저렴

 30년간 1.7% 수수료 차이는 ‘원금의 2배’ 차이를 만듭니다.


 8. 감정 통제는 최고의 재테크 스킬입니다

  •  투자 일기 쓰기
  •  뉴스 과잉 소비 피하기
  •  장기적 관점 유지
  •  자동화 된 투자 설정

“단기 30% 수익”을 노리기보다는,
현실적 수익률(연 7~8%)을 꾸준히 추구하는 것이 성공의 지름길입니다.


 성공적인 재테크, 이렇게 시작하세요

  • 원칙을 지키는 투자자 되기: 유행보다 기본기가 중요
  • 단계별 계획 세우기: 목표 설정 → 자산 배분 → 실행 → 점검
  • 지속 가능한 투자 습관 만들기: 매달 일정 금액 투자, 장기 시계 확보

“재테크는 복잡한 기술이 아니라, 단순한 원칙을 꾸준히 실천하는 습관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주식 초보라면 꼭 알아야 할 재무제표 읽는 법!


재테크에 관심은 많지만 용어가 어려운 사회초년생분들을 위해 재무제표의 기본 개념들을 쉽게 정리해 드릴게요.


재무제표, 왜 봐야 하나요?

회사의 수익성과 건강 상태를 숫자로 보여주는 게 바로 재무제표입니다. 주식은 회사를 사는 일이니, 당연히 확인해야겠죠!


용어 하나씩 쉽게 정리해요

1. ROE (자기자본이익률)

ROE = 순이익 ÷ 자기자본
회사 자본으로 얼마를 벌었는지 보여주는 수치예요. 높을수록 알짜 기업일 가능성이 큽니다.

2. PER (주가수익비율)

PER = 주가 ÷ 주당순이익
회사의 수익 대비 주가 수준을 나타내며, PER이 낮으면 저평가 가능성이 있습니다.

3. PBR (주가순자산비율)

PBR = 주가 ÷ 주당순자산가치
회사의 순자산 대비 얼마나 비싸게 거래되고 있는지를 의미합니다.

💡 PER, ROE, PBR만 알아도 당신은 상위 30% 투자자! (by 슈카)

예시: 치킨집 이야기로 배우는 재무제표

- 창업비용: 1,000만 원
- 연간 수익: 100만 원 → ROE 10%
- 시장 가치: 1,500만 원 → PER 15, PBR 1.5

삼성전자 vs 애플 비교

삼성전자약 40조 원약 446조 원11배19%
애플약 150조 원약 3,375조 원28배30%

어디서 볼 수 있나요?

네이버 금융에서 종목명을 검색해 “기업 개요 → 재무제표” 탭을 클릭하면 확인할 수 있어요!


숫자 하나하나를 이해하는 순간, 주식이 훨씬 덜 무섭게 느껴질 거예요.
감이 아닌 데이터로 투자하는 현명한 투자자가 되어봅시다!

#재무제표
#PER
#ROE
#PBR
#주식초보
#사회초년생재테크
반응형

+ Recent posts